4대보험 납부확인서는 법인세와 종합소득세 신고 시 필수 자료 중 하나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에 대한 납부확인서를 출력하는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4대보험 개요
- 국민연금
- 건강보험
- 고용보험
- 산재보험
- 국민연금 납부확인서 출력하기
- 1단계 : 전자민원서비스 접속
- 2단계 : 납부확인서 조회
- 3단계 : 출력하기
-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출력하기
- 1단계 : 사회보험통합징수포털 접속
- 2단계 : 인증서 로그인
- 3단계 : 확인 후 저장
- 고용보험 및 산재보험 납부확인서 출력하기
- 1단계 : 고용/산재보험 조회
- 2단계 : 출력하기
- 주의사항 및 연락처
- 자주 묻는 질문
- 질문1: 4대보험 납부확인서는 왜 필요한가요?
- 질문2: 출력할 때 주의할 점은 무엇인가요?
- 질문3: 출력이 어려운 경우 어떻게 해야 하나요?
- 질문4: 국민연금 사업장관리번호는 어떻게 확인하나요?
- 질문5: 건강보험 납부확인서의 금액이 적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 함께보면 좋은글!
4대보험 개요
국민연금
국민연금은 노후에 대비하기 위해 가입하는 보험으로, 사업자가 매달 일정 금액을 납부해야 합니다.
건강보험
건강보험은 의료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가입하는 보험으로, 사업자와 근로자가 각각 부담하는 보험료가 있습니다.
고용보험
고용보험은 실업 시의 생활 안정을 위해 존재하며, 사업자와 근로자가 함께 납부합니다.
산재보험
산재보험은 업무 중 발생한 사고나 질병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는 보험입니다.
국민연금 납부확인서 출력하기
1단계 : 전자민원서비스 접속
국민연금공단 전자민원서비스에 접속합니다. 사업장 인증을 위해 사업장관리번호를 입력하고 공동인증서로 로그인합니다.
2단계 : 납부확인서 조회
로그인 후 ‘사업장서비스’ 메뉴에서 ‘증명서 발급’을 클릭하고, ‘사업장보험료 납부확인서 조회/증명’을 선택합니다.
3단계 : 출력하기
월별 납부내역을 확인한 후, 화면 하단의 ‘확인서 발급’을 클릭합니다. 인쇄 아이콘을 통해 PDF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출력하기
1단계 : 사회보험통합징수포털 접속
사회보험통합징수포털에 접속하여, 사업장 납부확인서 발급 신청을 클릭합니다.
2단계 : 인증서 로그인
무조건 공인인증서로 로그인해야 하며, 납부확인서 발급 신청 시 발행년월과 용도를 설정합니다.
3단계 : 확인 후 저장
납부확인서를 프린트하면 자동으로 파일이 다운로드되며, 다운로드 폴더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고용보험 및 산재보험 납부확인서 출력하기
1단계 : 고용/산재보험 조회
건강보험을 발급한 후, 고용보험과 산재보험 메뉴를 클릭하고 발급년월을 설정하여 조회합니다.
2단계 : 출력하기
조회 후 나타나는 프린트 발급 버튼을 클릭하면 자동으로 파일이 저장됩니다.
주의사항 및 연락처
4대보험 납부확인서 출력이 어려운 경우, 해당 공단에 직접 연락하여 요청할 수 있습니다. 각 공단의 연락처는 다음과 같습니다:
– 국민연금: 1355
– 건강보험: 1577-1000
– 근로복지공단: 1588-0075
자주 묻는 질문
질문1: 4대보험 납부확인서는 왜 필요한가요?
납부확인서는 세무신고 시 필수적인 자료로, 정확한 세액을 산출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질문2: 출력할 때 주의할 점은 무엇인가요?
납부확인서 발급 시 발행년월과 용도를 정확히 설정해야 하며, 공인인증서로 로그인해야 합니다.
질문3: 출력이 어려운 경우 어떻게 해야 하나요?
각 보험공단에 전화를 통해 도움을 요청하거나, 담당 세무사에게 문의하면 됩니다.
질문4: 국민연금 사업장관리번호는 어떻게 확인하나요?
사업자등록번호에 ‘0’을 추가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질문5: 건강보험 납부확인서의 금액이 적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사업자와 근로자 부담금을 나누어 표시하기 때문에 전체 금액이 적게 보일 수 있습니다.
위의 방법을 참고하여 4대보험 납부확인서를 쉽게 출력하시기 바랍니다. 금성세무회계사무소는 납세자를 위한 최선의 방법을 고민하며, 여러분의 세무 업무에 도움이 되고자 항상 노력하겠습니다.
이전 글: 쿠쿠밥솥 서비스센터 접수 방법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