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 여러분, 50만원 지원금 신청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7월 14일부터 시작되는 부담경감 크레딧 접수는 공공요금과 4대보험료 부담을 줄여줄 중요한 기회입니다.
부담경감 크레딧 신청 사이트 접속방법
네이버 검색을 통한 접속 방법
부담경감 크레딧 신청을 위해서는 정확한 사이트에 접속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이를 위해 네이버에서 ‘부담경감 크레딧’을 검색하고,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의 공식 광고를 클릭하면 됩니다. 광고라고 표시되어 있지만 공식 사이트로 안전하게 연결됩니다.
소자공 카페를 통한 접속 방법
또 다른 방법은 네이버에서 ‘소자공’을 검색하여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카페에 입장하는 것입니다. 메인 화면 하단의 ‘부담경감 크레딧’을 클릭하면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이란
부담경감 크레딧은 소상공인의 공공요금과 4대보험료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지원되는 50만원 프로그램입니다. 현금이 아닌 카드 포인트 형태로 제공되며, 특정 용도로만 사용 가능합니다.
항목 | 내용 |
---|---|
지원금액 | 50만원 |
사용기간 | 2024년 12월 31일까지 |
사용처 | 전기·가스·수도요금, 4대보험료 |
지원형태 | 카드 포인트 자동차감 |
등록 가능한 카드사 | 국민, 농협, 롯데, BC, 삼성, 신한, 우리, 하나, 현대카드 등 9개 카드사 |
신청 대상 및 자격요건
부담경감 크레딧 신청은 모든 소상공인이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아래의 조건을 충족해야 신청이 가능합니다.
매출 규모 조건
2024년 혹은 2025년 연매출이 0원 초과 3억원 이하이어야 하며, 매출이 0원인 경우에는 신청할 수 없습니다.
사업자 조건
개업일이 2025년 5월 1일 이전이어야 하며, 신청일 기준으로 휴업이나 폐업 상태가 아닌 활동 사업자여야 합니다. 또한 소상공인 정책자금 제외 업종이 아닌 모든 업종이 해당됩니다.
일자별 신청 안내
날짜 | 사업자등록번호 끝자리 |
---|---|
7월 14일 | 4, 9 |
7월 15일 | 0, 5 |
7월 16일 | 1, 6 |
7월 17일 | 2, 7 |
7월 18일 | 3, 8 |
7월 19일 이후 | 전체 접수 |
신청 절차 및 준비사항
신청 절차는 간단하며, 별도의 서류 제출 없이 온라인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필요한 정보만 입력하면 됩니다.
신청 시 필요한 정보
- 상호명
- 대표자명
- 사업자등록번호
- 사업장 주소지
- 카드 개인정보 (성명, 주민등록번호 등)
신청 절차
- 부담경감 크레딧 사이트 접속
- 신청하기 버튼 클릭
- 카드사 선택
- 지원사업 신청서 작성
- 확인 및 제출
주의사항: 자동이체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등록한 카드로 결제 방식을 변경해야 포인트가 차감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1. 50만원을 다 사용하지 못할 경우 어떻게 되나요?
12월 31일까지 사용하지 않은 금액은 소멸됩니다. 특히 시니어 소상공인 중 국민연금을 내지 않고 건강보험료가 적은 경우, 50만원을 모두 사용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전기·가스·수도요금 결제 방식을 카드로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Q2. 이미 다른 카드를 사용 중인데 변경해야 하나요?
네, 반드시 등록한 카드로 결제해야 포인트가 차감됩니다. 현재 자동이체나 다른 카드를 사용 중이라면 등록한 카드로 결제 방식을 변경해야 합니다. 이 과정은 다소 번거로울 수 있으나, 50만원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필수적입니다.
Q3. 선정 결과는 언제 어떻게 알 수 있나요?
검증을 거쳐 지원 대상이 선정되면 알림톡을 통해 안내됩니다. 별도로 확인할 필요 없이 휴대폰으로 결과를 받아볼 수 있으며, 선정되지 않은 경우에도 별도 안내가 있을 예정입니다.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은 50만원이라는 적지 않은 금액의 지원제도입니다. 7월 14일부터 시작되는 신청을 놓치지 마시고, 정확한 사이트를 통해 안전하게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이전 글: 타이베이 101 타워 방문 꿀팁 7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