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서울시 어르신 일자리 지원 신청 방법 및 일정 안내



2023년 서울시 어르신 일자리 지원 신청 방법 및 일정 안내

서울시는 2023년 어르신들을 위한 다양한 일자리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평균 수명이 늘어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많은 시니어들이 새로운 직업에 도전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서울시에서 제공하는 어르신 일자리의 종류와 신청 방법, 모집 일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 ✅ 상세 정보 바로 확인 👈

 

2023 서울시 어르신 일자리 개요

서울시 어르신 일자리 사업

2023년 서울시는 어르신들을 위한 일자리와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를 모집합니다. 모집은 2022년 12월 5일부터 시작되었으며, 서울시 25개 자치구에서 진행됩니다. 참여를 원하는 어르신들은 각 자치구의 시니어클럽, 노인복지관, 대한노인회 지회 등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일자리 수 및 유형

2023년도에는 총 6만 9,900개의 일자리가 마련되었습니다. 이는 서울시와 25개 자치구가 보건복지부와 협력하여 추진하는 사업으로, 다양한 유형의 일자리가 제공됩니다.

 

👉 ✅ 상세 정보 바로 확인 👈

 

사업 유형별 어르신 일자리

사회서비스형 일자리

사회서비스형 일자리는 월 60시간 근무하며 최대 71만 원의 급여를 지급받는 일자리입니다. 이 일자리는 만 65세 이상 어르신을 대상으로 하며, 돌봄 및 복지 시설에서 전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총 8,402개의 일자리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시장형 일자리

시장형 일자리는 매출이 증가하면 추가 소득이 발생하는 구조로, 카페 운영, 소규모 제조업체, 지하철 택배 등의 다양한 일자리가 포함됩니다. 만 60세 이상 어르신이 신청할 수 있으며, 총 6,049개의 일자리로 2022년 대비 1,200개가 확대되었습니다.

공익활동형 일자리

기초연금 수급자인 만 65세 이상 어르신을 위한 공익활동형 일자리도 마련되어 있습니다. 이 일자리는 노인이 노인을 돌보는 노노케어, 취약계층 지원, 공공시설 봉사 등을 포함하며, 총 5만 3,249개의 일자리가 제공됩니다. 월 30시간 활동하며 27만 원의 활동비를 수령할 수 있습니다.

취업알선형 일자리

만 60세 이상의 어르신을 위한 취업알선형 일자리도 있으며, 2,200개의 일자리를 추진합니다. 자치구별로 12월 5일부터 모집이 진행되며, 모집 기간이 종료된 후에도 대기 신청이나 추가 모집이 공고될 수 있습니다.

[표: 서울시 어르신 일자리 유형]

일자리 유형 참여 자격 급여/활동비 일자리 수
사회서비스형 만 65세 이상 최대 71만 원 8,402개
시장형 만 60세 이상 매출에 따른 소득 발생 6,049개
공익활동형 만 65세 이상 기초연금 수급자 27만 원 5만 3,249개
취업알선형 만 60세 이상 2,200개

자치구별 참여자 모집 일정 및 문의처

각 자치구에서의 모집 일정은 상이하며, 토요일과 일요일은 제외됩니다. 어르신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에 대한 상세한 정보는 서울시 복지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자치구별 수행기관에 대한 문의는 서울시 다산콜센터(02-120)를 통해 가능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질문1: 어르신 일자리 신청 자격은 어떻게 되나요?

어르신 일자리는 사업 유형에 따라 다릅니다. 사회서비스형은 만 65세 이상, 시장형은 만 60세 이상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 공익활동형은 만 65세 이상 기초연금 수급자만 신청 가능합니다.

질문2: 신청 방법은 무엇인가요?

신청은 각 자치구의 시니어클럽, 노인복지관 등에서 가능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자치구 어르신 일자리 담당 부서에 문의하시면 됩니다.

질문3: 모집 일정은 어떻게 되나요?

모집 일정은 자치구별로 다르며, 2022년 12월 5일부터 시작되었습니다. 모집 기간 종료 후에도 대기 신청이 가능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질문4: 어떤 종류의 일자리가 제공되나요?

서울시는 사회서비스형, 시장형, 공익활동형, 취업알선형 등 다양한 일자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각 유형에 따라 자격 및 활동 내용이 다르니 확인이 필요합니다.

질문5: 문의처는 어디인가요?

문의는 서울시 다산콜센터(02-120) 또는 각 자치구의 어르신 일자리 담당 부서에 가능합니다. 각 자치구의 연락처는 서울시 공식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전 글: 황영웅 팬클럽 ‘파라다이스’의 논란과 기부 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