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철이 다가오면 차량을 운전하기가 망설여질 때가 많습니다. 특히, 침수의 위험성이 높기 때문인데요. 침수된 차량은 수리 비용이 크거나 폐차해야 할 수도 있어 소비자에게 큰 부담이 됩니다. 이로 인해 중고차 구매 시 어떤 차량이 침수 차량인지 구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침수 차량의 특징과 구별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침수 차량을 피해야 하는 이유
전기 부품 부식
침수 차량의 가장 큰 문제는 전기 부품의 부식입니다. 물에 노출된 전자 부품은 빠르게 부식되며, 이는 잦은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겉으로는 멀쩡해 보이더라도 내부 부품이 부식되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ECU 손상
자동차의 전자제어장치(ECU)가 침수되면 엔진의 성능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ECU가 손상되면 차량이 급발진하거나 엔진이 꺼지는 등의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침수 차량 구별 방법
자동차 내부 악취 확인
차량의 내부가 침수되었다면, 곰팡이로 인해 악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차량 내부에서 불쾌한 냄새가 난다면 침수 차량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안전벨트의 이물질 확인
안전벨트를 잡아당겨 흙탕물의 흔적이 발견된다면 침수 차량일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안전벨트 안쪽은 세척이 어려워 청소가 잘 되지 않습니다.
트렁크 바닥과 웨더스트랩 확인
트렁크 바닥에 물이 고여있는지 확인하세요. 침수된 차량은 트렁크 내부에 물이 고일 수 있으며, 웨더스트랩의 세척 흔적도 확인해야 합니다.
퓨즈박스 확인
침수 차량의 경우 퓨즈박스가 교체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퓨즈박스는 자주 교체되지 않기 때문에, 교체 이력이 있다면 주의가 필요합니다.
엔진 주입구 근처, 시거잭 소켓 확인
엔진 주입구나 시거잭 소켓에 녹슨 흔적이나 오염 물질이 보인다면 침수 차량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일반적으로 물이 들어갈 일이 없는 부분이기 때문입니다.
침수 차량 이력 조회 방법
카히스토리
보험개발원이 운영하는 카히스토리에서는 무료로 침수 사고 이력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차량번호 또는 차대번호를 입력하면 침수 사고 이력을 확인할 수 있어 유용합니다.
자동차 365
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이 운영하는 자동차 365에서도 무료로 침수 사고 이력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이 사이트는 본인 인증과 회원가입이 필요하지만, 지자체의 침수 신고 정보와 정비 이력을 확인할 수 있어 도움이 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질문1: 침수 차량을 구별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무엇인가요?
안전벨트와 트렁크 바닥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이 부분에서 침수 흔적이 발견된다면 침수 차량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질문2: 카히스토리와 자동차 365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카히스토리는 보험사 이력만 조회할 수 있는 반면, 자동차 365는 지자체 침수 신고 정보와 차량의 정비 이력까지 포괄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질문3: 침수 차량을 구입하면 어떤 문제가 생길까요?
침수 차량은 전기 부품 부식이나 ECU 손상 등으로 인해 안전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이후 수리 비용이 많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질문4: 침수 차량 이력 조회는 무료인가요?
네, 카히스토리와 자동차 365 모두 무료로 침수 차량 이력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질문5: 중고차 구매 시 어떤 점을 주의해야 하나요?
침수차량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차량의 전반적인 상태와 이력을 꼼꼼히 살펴보아야 합니다.
이전 글: 후판 가격 협상 난항과 원 환율 급등의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