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체국택배 운송장번호 및 등기번호 조회 방법



우체국택배 운송장번호 및 등기번호 조회 방법

우체국택배의 운송장번호나 등기번호가 없는 경우에도 여러 방법을 통해 손쉽게 조회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PC와 모바일, 고객센터를 이용한 조회 방법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 상세 정보 바로 확인 👈

 

PC에서 조회하는 방법

H3 조회 절차

  1. 우체국택배 홈페이지 접속: 홈페이지에 로그인합니다. 비회원도 운송장번호로 조회할 수 있으나, 전화번호나 영수증 번호로 조회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2. 조회 정보 입력: 접수일, 발송인 또는 수신인 정보, 전화번호 또는 영수증 번호를 입력합니다. 접수일은 최대 7일 이내의 날짜만 검색 가능하니 참고하세요.
  3. 조회 결과 확인: 조회 후에는 등기번호, 접수일자, 배달 결과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H3 주의사항

  • 발송인과 수신인의 회원명이 동일해야 조회가 가능합니다. 회원명이 다를 경우 조회가 불가능합니다.

 

 

 

👉 ✅ 상세 정보 바로 확인 👈

 

모바일에서 조회하는 방법

H3 앱 설치 및 설정

  1. 우체국 앱 다운로드: 스마트폰에 우체국 앱을 설치하고 알림 수신 동의를 설정합니다. 정보성 알림을 원하시면 ON으로 설정하세요.
  2. 로그인 후 조회: 로그인 후 하단의 ‘받는 우편물’을 클릭하여 조회를 시작합니다.

H3 조회 기간 설정

  • 모바일에서는 1개월 단위로 조회가 가능하며, 최대 1년까지의 기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년이 지난 우편물은 조회할 수 없습니다.

고객센터 전화 문의해서 조회

고객센터에 직접 전화하여 상담사에게 발송인 이름, 수신인 이름, 주소 등을 알려주면 운송장 및 등기번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화 문의는 가능한 한 점심시간(12시~14시)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운송장번호 없이도 조회가 가능한가요?

네, 전화번호나 영수증 번호로도 조회가 가능합니다.

모바일 앱에서 이전 기록은 얼마나 조회할 수 있나요?

최대 1년까지의 기록을 조회할 수 있으며, 1년이 지난 우편물은 조회가 불가능합니다.

고객센터에 문의할 때 필요한 정보는 무엇인가요?

발송인과 수신인의 이름, 주소 등의 정보를 준비하면 더 빠르게 조회할 수 있습니다.

PC와 모바일에서 조회 방식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PC에서는 접수일을 기준으로 최대 7일 이내의 기록을 검색하고, 모바일에서는 1개월 단위로 조회할 수 있습니다.

이전 글: 카카오톡 자동 업데이트 끄기: 아이폰과 안드로이드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