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를 읽어보시면 에코마일리지의 신청 방법, 적립 기준, 사용처와 인센티브 구조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통합 에코 마일리지의 목표와 의의
- 정의와 도입 배경: 에너지 절약에 따라 마일리지가 지급되고, 탄소배출 저감을 시민 참여로 확산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 정책적 기대 효과: 가정·사업장의 전력·수도·도시가스 사용량을 적극적으로 관리하도록 유도하고, 도시의 지속 가능성 실천에 기여합니다.
2) 가입 및 정보 등록 절차
- 신규 회원 가입 방법: 통합에코 홈페이지나 관할 구청/주민센터에서 신청합니다.
- 기존 회원의 전환 및 정보 등록: 기존 에코마일리지나 승용차마일리지는 최초 로그인 시 통합에코로 전환되며, 필요한 정보 등록이 진행됩니다.
3) 적립 방식과 사용처 안내
- 적립 기준과 평가 방식: 에코마일리지는 가정·사업장의 에너지 사용량 절감률을 바탕으로 통합에코 마일리지로 적립됩니다.
- 발급기간 및 등가 합산: 적립된 마일리지는 등가로 합산되며, 발급일로부터 5년간 유효합니다.
구분 | 지급 조건 | 최대 한도 |
---|---|---|
개인 회원 | 에너지 절감률 5% 이상 | 1만–5만 마일리지 |
단체 회원 | 에너지 절감률 10% 이상 | 최대 1천만 원 상당 |
- 사용처 안내: 발급된 마일리지는 기존의 에코마일리지·승용차마일리지의 사용처를 합친 영역에서 신청 가능하며, 현금전환·상품권 지급 등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됩니다.
4) 지급 인센티브와 대상 제외
- 개인/단체 회원의 차등 지급: 개인은 절감률에 따라 1만~5만 마일리지, 단체는 건물 규모에 따라 최대 상당액까지 지급될 수 있습니다.
- 제외 대상 및 한도: 공공기관 및 에너지 다소비 사업장(예: 특정 규모 이상), 학교, 특정 아파트 단체회원은 일부 인센티브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5) 참여 효과와 실천 포인트
- 에너지 관리 및 모니터링: 실시간으로 전력·수도·가스 사용량과 절감률을 확인하며 관리 습관이 형성됩니다.
- 환경적·경제적 이익: 절감이 클수록 마일리지가 늘고, 환경 보호 기여와 함께 개인 재정에도 도움이 됩니다.
6) 자주 묻는 질문 (FAQ)
에코마일리지는 누구에게 해당하나요?
서울시에 거주하는 개인 회원과 서울시 내 법인/단체가 참여하며, 지급은 가구 대표 1인에게 한정됩니다.
마일리지는 어떤 사용처에서 사용되나요?
현금전환, 기부, 온누리상품권, 모바일/지류 도서문화상품권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신청은 어디에서 하나요?
통합에코 마일리지 홈페이지나 관할 행정기관에서 신규 가입 및 전환 절차를 진행합니다.
마일리지는 얼마나 오래 유효한가요?
발급일로부터 5년간 유효하며, 기간 내 사용을 권장합니다.
마지막으로, 에코마일리지는 서울시의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기여하는 핵심 정책 중 하나입니다. 개인의 작은 실천이 도시 전체의 지속 가능성으로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