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사이버 공격이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크리덴셜 스터핑 공격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노력과 서비스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크리덴셜 스터핑 공격 이해하기
크리덴셜 스터핑 공격의 개념
크리덴셜 스터핑은 유출된 계정정보를 이용해 여러 웹사이트에 로그인 시도를 하는 공격 방식입니다. 공격자는 한 번 유출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활용해 다양한 사이트에 입력하여 추가적인 피해를 발생시킵니다. 2022년에는 1건에 불과했던 유출 신고가 2023년에는 18건으로 증가했습니다.
공격의 피해 및 위험성
이러한 공격 방식은 단순히 개인의 계정정보를 유출시키는 것에 그치지 않고, 명의 도용, 보이스피싱 등 다양한 범죄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사용자들이 여러 사이트에서 동일한 계정정보를 사용하는 경우, 하나의 계정이 유출될 경우 연쇄적인 피해가 우려됩니다.
‘털린 내 정보 찾기’ 서비스란?
서비스 개요
‘털린 내 정보 찾기’ 서비스는 사용자가 자신의 계정정보를 입력하여 해당 정보가 다크웹에서 유출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이 서비스는 개인정보보호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제공하며, 현재까지 140만명이 이용하였고, 그 중 10만명이 본인의 정보가 유출되었음을 확인했습니다.
서비스 이용 방법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 및 본인 인증(이메일 인증, 리캡챠 인증).
2. 평소 사용하는 계정정보(ID, PW)를 최대 10개까지 입력.
3. 유출 여부를 조회.
4. 유출된 경우, 계정정보 변경 및 사용하지 않는 웹사이트의 회원 탈퇴 등의 후속 조치 안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추가 방안
계정정보 변경
계정정보 유출이 확인된 경우, 즉시 계정정보를 변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용하지 않는 계정의 회원 탈퇴도 고려해야 합니다.
다양한 인증 방법 활용
다양한 본인 인증 방식을 활용하여 계정 보호를 강화해야 합니다. 이는 추가적인 보안 장치 역할을 합니다.
향후 계획 및 서비스 개선
2024년 개인정보보호위원회와 KISA는 ‘털린 내 정보 찾기’ 서비스의 개인정보 조회 항목을 확대하고, 본인 인증 방식을 다양화하여 서비스 이용의 편리성을 높일 예정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질문1: ‘털린 내 정보 찾기’ 서비스는 어떻게 이용하나요?
서비스는 개인정보 수집 동의, 본인 인증 후 계정정보를 입력하여 유출 여부를 조회하는 방식입니다.
질문2: 계정정보 유출 확인 후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하나요?
유출이 확인되면 즉시 계정정보를 변경하고, 필요 시 사용하지 않는 웹사이트의 회원 탈퇴를 권장합니다.
질문3: 다크웹이란 무엇인가요?
다크웹은 특정 프로그램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웹으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추적하기 어려워 사이버 범죄에 악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질문4: 크리덴셜 스터핑 공격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각 사이트마다 다른 비밀번호를 사용하고, 2단계 인증을 설정하여 보안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질문5: 개인정보 유출의 위험성은 무엇인가요?
유출된 정보는 명의 도용이나 보이스피싱 등 다양한 범죄에 악용될 수 있어, 즉각적인 대응이 중요합니다.